본문 바로가기

영어

도파민네이션(Dopamine Nation) 원서로 읽기 p.54~68

반응형

54  set point 만족감을 계속해서 추구할 수록 뇌의 '기본값'이 바뀜. / You might think of this as the gremlins camped out on the pain side of the balance, inflatable mattresses and portable barbecues in tow. - 고통 쪽에 있는 작은 악마들이 단순히 잠깐 머무르기 위함이 아니라 아주 편하게 정착해서 떠나지 않을거라는 뜻을 의미. (in tow 챙겨오다. 에어매트리스랑 휴대용 바베큐를 챙겨오다)

55  hyperalgesia 통각과민증 (e.g. analgesia무통증, hypoalgesia 통각 둔화, dysalgesia 통각이상, panalgesia 전신통증) / tapered off : 약물 복용량을 서서히 줄일 때 (강도 빈도 양이 점차 감소할 때)

56: To put it another way, the players on Team Dopamine take their balls and their mitts and go home. 일에서 손을 떼는 모습. 포기하고 떠나는 모습.

57: anhedonia 무쾌감증 inability to enjoy pleasure of any kind. / anxiety irritability insomnia dysphoria 대표적 금단 증상(불안, 짜증, 불면증, 불쾌감) / relapse 질병의 재발, 중독으로 다시 빠지다 / protracted withdrawal 금단증상의 장기화

59: conditioned cue 학습된 신호 (심리학 '조건화된 단서') / tonic level 지속적이거나 안정적인 활동 상태, 기저수준 / 조건화된 단서에 노출되면 도파민이 기저수준 이하로 내려가고, 그 경미한 결핍상태로 인해서 보상을 찾아나서게 된다는 것. 결핍상태가 갈망을 불러일으키고, 갈망은 중독을 찾아나서는 행위로 연결됨.

61: 그래서 기대의 미충족이 아예 기대조차 하지 못했던 것보다 고통스러운 것. 기대를 하면 도파민이 상승했다가 미충족되면 바로 결여상태가 되기 때문. 도박은 불확실성 때문에 하는 것이지, 결과적으로 얻을 금전적 이득때문에 하는 것이 아님. 이기고 지는 것이 가장 불확실할 때 즉 각 50% 일 때 도파민 수준이 제일 높았음.

62: reward anticipation - reward response / uncertainty of getting a "like" or some equivalent is as reinforcing as the "like" itself. 

63: sensitization: 반복적인 자극에 의해 신체나 신경계가 특정한 반응에 더 민감해지는 과정

64: proliferation 빠르게 증가하거나 확산되는 과정 / optogenetics 광유전학, 빛을 이용해 특정 신경세포의 활동을 조절하는 기술.

65: war theater 군사용어로 '전쟁터' 

66: every pleasure exacts a price 대가를 치르게 하다

67: hippocampal tattoo 해마에 새겨진 문신 (hippocampus 해마(뇌)) / The phylogenetically uber-ancient (극도로 오래된, 초고대의) neurological machinery for processing pleasure and pain has remained largely intact throughout evolution and across species. / chronic sedentary feeding 오랜기간 앉아서 먹는 습관 / This recalibration is occuring not just at the level of the individual but also at the level of nations. 재조정, 재설정 / denizens 어떤 특정 장소에 사는 존재.. 21세기를 살아가는 사람들로서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가

68: reprobates, parasites, pariahs, purveyors of moral turpitude 방탕, 사회적 기생충, 낙오자(버림받은자), 부도덕한 행위를 퍼뜨리거나 공급하는 사람 (부정적 뉘앙스인 경우 거짓 정보나 유해한 문화를 퍼뜨리는 사람)

 

반응형

'영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